금융위기
-
양적완화와 출구전략, 금융위기와 코로나위기의 차이점economy 2021. 2. 1. 16:12
미국은 왜 금리를 내렸을까? 양적완화와 출구전략 미국은 경제 위기를 어떻게 해결해왔나? 금리를 내려서 해결해왔다.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태가 발생한 후 전 세계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았다. 세계적인 경기침체였다. (금융위기 직전 우리나라 코스피 지수는 2000포인트를 돌파했는데, 금융위기 이후 60% 하락하여 800대로 급격하게 추락했다.) 금융위기 그 후, 해결책을 찾아야 했다. 금융위기의 원인이 달러의 유동성 과잉이었지만, 결국 금융위기의 해결책도 달러의 유동성 과잉이었다. 이때 미국의 정책 방향이 두 가지로 대립이 일어났다. 구조조정하고 돈을 풀자. (잘못한 사람 처벌하고, 제도 개혁하고, 법도 바꾸고, 정리할 회사들 정리하고 이렇게 손 본 다음에 돈을 풀자.) 그럴 시간 없다. 빨리 돈부터 풀고 ..
-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태와 금융위기의 이해economy 2021. 1. 28. 15:34
금리와 통화량, 현금가치, 그리고 실물가치의 상관관계 금리 어디서 많이 들어봤는데 금리가 대체 뭘까? 금리는 어떻게 정해지고, 기준금리는 뭐고, 기준금리가 달라지면 어떤 변화가 생길까? 물가 상승과 무슨 관련이 있는 걸까? 금리는 빌려준 돈이나 예금에 붙는 이자 또는 그 비율을 말한다. 금융시장에서는 이자율과 금리가 같은 뜻으로 쓰인다. 기준금리는 기본이 되는 금리로, 한 나라의 금리를 대표하는 정책금리로 각종 금리의 기준이 된다. 우리나라는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정한다. 자 이제 금리가 뭔지 알았다. 어디서 정하는 것인지도 알았다. 그래서 금리가 달라지면 어떤 변화가 생길까? 금리가 내려가면 통화량이 증가한다. 통화량은 한 나라의 경제에서 일정 시점에 유통되고 있는 화폐의 존재량..